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계정 생성을 전제로, 리전 및 가용영역의 개념과 AWS EC2 의 리전 선택을 다룬다.
✅ 리전(Region) 선택하기
AWS EC2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리전(Region)을 먼저 선택해야 한다.
1️⃣ 리전과 가용영역(AZ)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에는 리전(Region)이라는 개념이 있다.
리전은 '서비스들의 서버가 어디에 위치하는가' 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AWS가 전 세계에서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 말 그대로 국가/도시 단위의 지리적 위치를 말한다. 이를테면, 일본 도쿄에서 호스팅되는 영역은 도쿄 리전, 한국 서울에서 호스팅 되는 영역은 서울 리전이라고 이야기 한다.
리전이 국가/도시 단위의 지리적 위치라면, 가용영역(AZ)는 각 리전(국가/도시) 안의 데이터센터이다. 정확히는 1개 이상의 물리 데이터센터를 묶은 논리적인 데이터센터로, 가용영역은 1개의 데이터센터일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묶어놓은 것일 수도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하나의 가상 데이터센터라고 이해하면 된다.
AWS의 각 리전은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가지고 있다.
2️⃣ 리전 선택 기준
사람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는 컴퓨터와 위치가 멀면 멀수록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주된 사용자들의 위치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리전(Region)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3️⃣ 주의 사항
- 각 리전(Region)은 완전히 독립적이기 때문에 Region들 사이의 데이터 중복 저장이 이뤄지지 않는다.
- 리전(Region) 내의 AZ사이에서는 데이터 중복 저장이 된다. (Region내의 중요정보가 손실되지 않도록 중복저장)
- 리전(Region)마다 EC2가 따로 관리가 되므로, 어느 리전에서 EC2를 생성했는지 유의해야한다. (아시아 태평양(서울) 리전에서 EC2를 생성해놓고,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으로 들어가면 X)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모니터링과 비용관리 (0) | 2024.12.23 |
---|---|
[AWS] EB(Elastic Beanstalk) (0) | 2024.11.18 |
[AWS] EC2 실습 (2) - 인스턴스 생성 (0) | 2024.02.13 |
[AWS] EC2란? (1)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