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 설치
yum install [프로그램이름]
yum은 일종의 패키지 매니저이다. 만약, yum이 프로그램들을 가져오는 사이트(저장소)에 받고 싶은 프로그램이 없다면 직접 저장소에 추가해야한다.
📌 주의 사항
- 인터넷이 되는 리눅스 컴퓨터에서만 할 수 있음
- Install 이 안 될 경우 : 1) 인터넷 연결 확인, 2) 저장소에 해당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확인
+) ifconfig (IP 주소확인 명령어) 설치 : yum install net-tools
✅ 디렉토리 내용 확인
ls -al #a: 숨겨진 파일 표시, l: 자세히 표시
✅ 디렉토리 관련 작업
#1) 복사
cp -r [원본 경로] [사본 경로] # -r:폴더까지 복사
#2) 이동
mv [원본 경로] [이동할 경로]
#3) 이름 변경
mv [원본 경로] [바꿀 경로]
#4) 생성
mkdir [생성할 디렉토리 이름]
#5) 제거
rm [삭제할 파일 or 디렉토리 경로] # -rf: 디렉토리 삭제할 때 비어있지 않아도 삭제 가능
✅ 파일 압축
# 아카이브 파일 생성
tar cvf [아카이브 파일이름] [압축할 파일1] [압축할 파일2] ....
# 아카이브 해제
tar xvf [아카이브 파일이름]
# 압축
gzip [압축할 파일]
# 압축 해제
gunzip [압축 파일 이름]
# 압축 및 아카이브 한번에 해제
tar zxvf [압축 및 아카이브 파일이름]
✅ IP 주소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60
BOOTPROTO=static #dhcp(ip 자동설정), static(ip 수동설정)
ONBOOT=yes
IPADDR=[내가 쓸 주소]
NETMASK=[가상 공유기 서브넷 마스크 주소]
GATEWAY=[가상 공유기 주소] #요청을 보낼 때, 얘를 통해라 알려주는 것
DNS1=8.8.8.8 # Google DNS Server IP
📌 주의 사항
- IPADDR : 가상의 공유기에 맞는 값으로 설정 (같은 네트워크 대역으로 설정)
- 가상의 공유기 IP 주소: virtual network editor 애플리케이션에서 알 수 있음 (VMnet8의 주소)
- 변경한 후, 가상머신 재시작 필수(설정 파일이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님)
✅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systemctl start [서비스 프로그램 이름]
systemctl restart [서비스 프로그램 이름]
systemctl stop [서비스 프로그램 이름]
systemctl status [서비스 프로그램 이름]
💡 Tip
- 프로그램이 실행 후에는, 'systemctl status' 명령어로 active 상태인지 확인
✅ 실행 중인 포트 확인
netstat -anlp
💡 Tip
- grep 명령어를 통해, 특정 포트를 지정할 수 있다. ex) netstat -anlp | grep 3306
- 프로그램이 실행 후에는, 'systemctl status' 명령어와 함께, 포트상태도 확인
✅ 방화벽 끄기
setenforce 0 #로컬 방화벽 끄기
systemctl stop firewalld #네트워크 방화벽 끄기
📌 주의 사항
- 리눅스 가상머신을 종료했다 실행하면, 방화벽이 다시 켜질 수 있다.
- 방화벽이 켜진 경우, 외부에서 로컬 pc 로의 접속을 차단한다.
- systemctl status firewalld 로 방화벽 상태를 확인하고, 켜져있을 경우 종료하자.
'TIL >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Nginx와 Wordpress로 WAS 구성 (0) | 2024.05.13 |
---|---|
[Linux] MariaDB 설치 (0) | 2024.05.13 |